CMS/프레임워크 | Rhymix 2.1 |
---|---|
개발 언어 | PHP 8.2 |
문제 페이지 주소 | 비공개 (작성 후 5일 경과) |
안녕하세요. 라이믹스 사이트를 여러 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주일 정도 동안 사이트 제목과 부제목 (디스크립션)을 변경 하고 seo주제와 seo 설명글도 변경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네이버에서 거의 일주일 째 변경이 안되고 있습니다. 혹시 몰라서 사이트 맵 업데이트도 진행했는데 반응이 없네요. 사이트 전체를 바꾸면 2~3일이면 변경이 되는데 사이트 주제와 부제목 seo와 seo 설명만 바꾸면 변경 되는데 너무 오래 걸리거나 변경이 안됩니다. 어떻게 해야 빠르게 변경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쉬운 설치에서 검색하면 검색이 안되는 오류는 언제 해결 될까요?
자리관
Lv. 1
댓글 7
아예 새로운 사이트라면 새로 긁어가겠지만, 기존 사이트는 자주 업데이트하지 않습니다. 세상에 사이트가 몇 갠데 매일 다 확인하겠어요? 사이트 제목 바뀌었다고 네이버에 실시간으로 알려줄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고... 솔직히 네이버 카페도 아니고 네이버 블로그도 아닌 남의 사이트 제목에 네이버가 그다지 관심있어하는 것 같지도 않고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은 하셨나요? 이걸 사용하면 그나마 확인 좀 해달라고 닦달하는 효과 정도는 있거든요. 물론 정말로 확인할지 말지는 네이버 마음이지만요.
무슨 말씀인지 이해 했습니다.
제가 윅스 워드도 같이 쓰고 있는데 오히려 더 늦게 변경한 윅스 워드 4개의 사이트에서 제목과 부제목 2틀 안에 다 변경 됩니다. 라이믹스만 5개를 변경했으나 1개만 변경되었습니다. 님이 말씀하신 내용과는 차이가 많이 있네요.
위 댓글은 원론적인 내용이고 (네이버가 즉시 업데이트할 의무는 없다) 실제로 얼마나 빨리 업데이트되는지는 당연히 사이트마다 다릅니다. 네이버에서 빨리 업데이트할 가치가 있는 사이트라고 판단해야 하니까요.
그렇다면 빠른 사이트는 왜 빠르고, 업데이트가 안 되는 사이트는 왜 안 되는지, 실제 소스상에 포함된 메타 태그의 구조나 페이지 컨텐츠의 품질 등을 비교해 보아야 할 텐데... 비교대상이 없는 상태에서 더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겠네요.
개발자가 아니어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이해는 모르겠으나, 외산 소규모 CMS들보다도 라이믹스의 SEO 반영 능력이 구글을 포함해서 매우 결함이 큰 편이라고 판단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등의 연계성이나 호환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이고요.
물론, 라이믹스 생태계에서 각종 유료 SEO 솔루션들이 있다고는 하지만, 2025년에는 굳이 유료가 아니면서 또 개발자가 아니면서도 운영에 전혀 차질이 없는 서비스가 많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 라이믹스를 좋아하긴 하지만,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 라이믹스를 사용한다면 SEO 기능이 없다고 생각하고 쓰셔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 저는 SEO 측면에서 아주 유리하던데
색인도 잘되고 노출도 잘되어서 항상 제일 만족해 하는부분이 SEO 라고생각합니다.
SEO라고 대단한 기술력이 필요한건 아닙니다. 그냥 메타태그 몇개 다는게 고작이니까요. 그 태그 내용을 어떻게 채우느냐, 실제 사이트 콘텐츠를 검색엔진이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이후 실제 검색노출에 영향을 줍니다.
그런 의미에서 라이믹스의 SEO 반영 능력에 결함이 있다는 주장에는 동의할수 없습니다. 검색 노출이 되지 않는다면 CMS를 탓할 것이 아니라 다른 부분을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YJSoft 각 CMS를 이용하는 평균적인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현대의 SEO 표준은 블로그나 쇼핑몰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입니다. 블로그나 쇼핑몰은 진입 경로가 단순하고, 페이지당 정보밀도가 높지요. 반면, 라이믹스 유저들은 한국식 게시판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웬만큼 긴 글이 많이 올라오는 사이트가 아니라면 게시판의 페이지당 정보밀도는 블로그보다 낮습니다. 그나마 노출되는 텍스트 중에도 중복되는 내용(하단목록, 사이드바 최근글 등)이 대부분이고요.
URL 구조라도 좀 단순화시켜 보려고 하면 "검색 후 추천수 역순 정렬 후 3페이지 하단목록 유지"를 고집하는 유저들의 반발 때문에 블로그처럼 심플한 진입 경로를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똑같은 내용에 똑같은 canonical URL을 가진 페이지를 검색엔진들이 도대체 몇 번이나 반복해서 긁어가는지 모릅니다. 이것 때문에 트래픽도 낭비되고 광고 수입에서도 은근히 손해를 보는데, 운영자분들도 다 같은 게시판 문화에 익숙하기 때문에 포기를 못 해요.
즉, "한국식 게시판은 SEO에 결함이 많다"라고 이해한다면 딱히 틀린 말은 아닙니다. 외산 CMS로 한국식 게시판을 만드는 사람은 거의 없으니까요. 라이믹스가 한국식 게시판에 머물지 않고 다른 활용 방법을 계속 모색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