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링크된 사이트는 .com/ 그대로가 메인이네요. .com/xe/ 로 리다이렉트되지 않습니다.
상단 로고를 클릭해도 일관성있게 .com/ 으로 나오니, 누가 일부러 입력하지 않으면 /xe/ 는 안 쓰는 것 같아요.
물론 직접 입력한다면 .com/ 과 .com/xe/ 가 같은 내용이기는 합니다만...
위의 스샷에서 301이 나온 이유는 /xe 뒤에 슬래시가 빠져서 /xe/ 로 리다이렉트되었기 때문이네요.
이번에 https 작업을 하면서 아마 만져젔을텐데요.
xe/home 으로 접속되게 해 놓았습니다. 그런데 도메인주소만 치면 그리로 접속이되죠.
그런데 보이기에는 도메인만 보이게 해 놓았습니다. 아시죠? 저희가 예전에 그런 편법을 쓴거... 이거 사실 좋은 방법이 아닌데요.
댓글 17
지난번에 계속 말씀드렸던 xe폴더를 사용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도메인은 .com 인데 인덱스 위치가 .com/xe 에 설치되어 있어서 그렇습니다.
지금 엄밀히 말하면 도메인/xe 가 사이트 주소입니다.
그런데 네이버에서 이제 폴더단위로 사이트 등록 접수를 받지 않고 도메인 단위로만 받습니다.
그래서 지금 등록한 사이트 주소는 다른주소인 도메인/xe 로 리디렉트가 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의 웹사이트 문서 수집 방식에 맞춘다면 xe폴더가 없는게 유리합니다.
그런데 링크된 사이트는 .com/ 그대로가 메인이네요. .com/xe/ 로 리다이렉트되지 않습니다.
상단 로고를 클릭해도 일관성있게 .com/ 으로 나오니, 누가 일부러 입력하지 않으면 /xe/ 는 안 쓰는 것 같아요.
물론 직접 입력한다면 .com/ 과 .com/xe/ 가 같은 내용이기는 합니다만...
위의 스샷에서 301이 나온 이유는 /xe 뒤에 슬래시가 빠져서 /xe/ 로 리다이렉트되었기 때문이네요.
그럼..그냥 아무 조치 안해도 되는건지요?...홈페이지..모바일이나pc에서 별 이상 없는것 같아서요^^
xe.. 관리지페이지.[설정]..[일반].[고급]에서..주소를
https://tenniseye.com/xe/
로 해놓은 상태입니다.
웹페이지 최적화 검사가 아닌
네이버웹마스터도구 의 상단에 있는 사이트간단체크 를 통해 사이트 도메인을 검사해 보시면
지금 리디렉트 해 놓은 주소로 301 영구 이전되었다고 뜰 겁니다.
검색노출에 좋은 상황은 아닙니다. XE가 없는게 좋습니다.
그러나 아래에서 @웹지기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소스상에 노출되는 canonical 주소에는 /xe/가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xe/가 있는 주소와 없는 주소를 이중으로 색인하게 되어 불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xe/ 폴더가 없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인덱스라고 부르는 것이 설치된 곳이 지금 /xe/ 라 바꾸시면 안됩니다.
이 인덱스 위치를 변경하시면 앱을 또 새로 제작하셔야합니다.
도메인의 루트 위치가 좀 좋지 않은 곳에 있는 문제 딱 하나가 남은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xe 폴더에 설치된게 맞아요. 그런데 조금 변칙으로 도메인으로만 접속되게 해 놓았습니다.
이번에 https 작업을 하면서 아마 만져젔을텐데요.
xe/home 으로 접속되게 해 놓았습니다. 그런데 도메인주소만 치면 그리로 접속이되죠.
그런데 보이기에는 도메인만 보이게 해 놓았습니다. 아시죠? 저희가 예전에 그런 편법을 쓴거... 이거 사실 좋은 방법이 아닌데요.
인덱스는 /xe 에 위치하고
도메인 연결은 /xe/home 에 하고 그렇습니다.
xe/...슬래시를 넣고 해보니..아래와 같이 나오는군요..^^
<link rel="canonical" href="https://tenniseye.com/xe/" />
view-source:https://tenniseye.com/
<link rel="canonical" href="https://tenniseye.com/xe/home" />
view-source:https://tenniseye.com/xe/home
<link rel="canonical" href="https://tenniseye.com/xe/h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