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믹스를 쓰지는 않아서 정확히는 모릅니다.
제 생각에는 저기에 있는 폰트목록이 웹폰트로 제공하는 폰트가 아닐 것이라고 보입니다.
pc에 해당 폰트가 깔려 있으면 그것을 이용한다 정도로 보입니다.
웹폰트라면 구글cdn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본문글꼴이 설정된 주소가 있다면 적용된 폰트 명을 보고 유추해볼수는 있겠지만 스샷만으로는 무리가 있네요.
라이믹스에서 웹폰트까지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나눔고딕은 용량이 몇MB씩 되기 때문에 웹폰트를 제공하는 것을 딱히 권장하지도 않습니다.
레이아웃에서 나눔고딕 웹폰트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나눔고딕이 설치되어 있으면 나눔고딕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레이아웃인 경우, 스샷 찍으신 화면에서 나눔고딕을 선택하면 레이아웃과 본문의 글꼴이 하나로 통일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레이아웃에서 어떤 폰트를 사용하는지 코어에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레이아웃에 포함된 CSS 파일을 일일이 파싱해볼 수도 없고...) 하나로 통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나눔고딕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 레이아웃과 본문 모두 다른 글꼴(굴림 또는 맑은고딕)로 표시되겠지요.
댓글 5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원이란 것과 다른 문제일 수 있다고 봅니다. 코어차원에서 폰트를 제공하긴 어렵고(라이센스 등) 트래픽 때문에 원치 않는 곳이 더 많을 수 있다고 봅니다.
제 생각에는 저기에 있는 폰트목록이 웹폰트로 제공하는 폰트가 아닐 것이라고 보입니다.
pc에 해당 폰트가 깔려 있으면 그것을 이용한다 정도로 보입니다.
웹폰트라면 구글cdn같은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본문글꼴이 설정된 주소가 있다면 적용된 폰트 명을 보고 유추해볼수는 있겠지만 스샷만으로는 무리가 있네요.
라이믹스에서 웹폰트까지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나눔고딕은 용량이 몇MB씩 되기 때문에 웹폰트를 제공하는 것을 딱히 권장하지도 않습니다.
레이아웃에서 나눔고딕 웹폰트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컴퓨터에 나눔고딕이 설치되어 있으면 나눔고딕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레이아웃인 경우, 스샷 찍으신 화면에서 나눔고딕을 선택하면 레이아웃과 본문의 글꼴이 하나로 통일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레이아웃에서 어떤 폰트를 사용하는지 코어에서는 알 수 없기 때문에(레이아웃에 포함된 CSS 파일을 일일이 파싱해볼 수도 없고...) 하나로 통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나눔고딕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 레이아웃과 본문 모두 다른 글꼴(굴림 또는 맑은고딕)로 표시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