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입장에서 동접은 무의미한 개념입니다. 서버의 active connection 수, CPU 점유율, 초당 요청수, 트래픽 등이 대체로 동접수에 비례하기는 하지만, 그런 정보를 가지고 동접수를 직접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나 whos.amung.us 위젯 등 실제 접속자의 브라우저를 통해 얻은 동접수가 그나마 진짜에 가까운데, 이것도 광고차단이나 추적차단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방문한 IP 갯수, 세션 수, 페이지뷰, 초당 요청수 등 사이트 방문자들이 실제로 취하는 액션의 갯수뿐입니다. 광고 수입도 동접수가 아닌 페이지뷰에 비례하니 동접수라는 엉성한 개념은 잊어버리고 실제로 도움이 되는 수치를 추적하세요.
댓글 4
서버 입장에서 동접은 무의미한 개념입니다. 서버의 active connection 수, CPU 점유율, 초당 요청수, 트래픽 등이 대체로 동접수에 비례하기는 하지만, 그런 정보를 가지고 동접수를 직접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나 whos.amung.us 위젯 등 실제 접속자의 브라우저를 통해 얻은 동접수가 그나마 진짜에 가까운데, 이것도 광고차단이나 추적차단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은 방문한 IP 갯수, 세션 수, 페이지뷰, 초당 요청수 등 사이트 방문자들이 실제로 취하는 액션의 갯수뿐입니다. 광고 수입도 동접수가 아닌 페이지뷰에 비례하니 동접수라는 엉성한 개념은 잊어버리고 실제로 도움이 되는 수치를 추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