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은 가비아, 호스팅은 카페24 를 사용하고있어서..
네임서버를 카페24로 연결해뒀는데요..
https:// 를 사용하기위해 클라우드플레어를 사용하기위해 클라우드플레어로 네임서버를 변경했습니다..
그러면.. 호스팅을 접속하기위해서는 카페24의 기본도메인.. xxxxxx.cafe24.com 으로 ftp 접속을 해야하는건가요?
그리고 DNS관리는 카페24에서 나오긴하는데..
이거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아직 이해가 잘 안돼는지라 질문도 이상하네요;;;
제가 알고있는건..도메인하고 호스팅하고 네임서버로 연결하는걸로 알고있는데..(깊게는 알지못합니다..ㅠ) 네임서버가 클라우드플레어로 바뀌면.. 도메인하고 카페24호스팅과는 어떻게 연결되는건가요? 클라우드플레어가 그냥 중계만 해주는건가요? 개념이 안잡히네요 ㅠ 도와주세용 ㅠ
댓글 15
2. 도메인 -> IP 를 연결하는 네임서버를 클라우드 플레어로 변경하신겁니다.
가비아에 이 네임서버를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담당하고 있다고 등록해주면 그것으로 동작합니다.
도메인관리업체 (가비아) 클라우드플레어에 해당도메인 서버 IP질의 <---> 클라우드플레어에 등록하신 IP(카페24서버)로 회신
이런식입니다.
방문자들이 통신사 DNS서버에 해당 도메인을 요청하면 위와 같은 루트로 전세계로 전파된 IP정보로 바로 접속하게 해주는 겁니다.
그러면..a레코드를 사용한 추가 서브도메인 생성(?)은 클라우드플레어에서 해줘야 하는건가요?
클라우드플레어에서 서브도메인생성하고 티스토리 연결해봤는데..아직은 안돼네요..
네임서버 변경한지 아직 하루밖에 안돼서 그런건지..무슨이유인지는 잘모르겠지만..ㅠ 좀 기다려봐야겠네요..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
근데 카페24 네임서버를 사용할때 A레코드 연결해놨던것은 클라우드플레어로 넘어갈때 자동으로 그대로 가져가던데, 이건 문제 없이 잘 되더라구요..ㅠ 구름모양이 켜져있는데..
아..제가 구름을 켜고 끄는거에 대해서 잘못이해 했던것 같아요~^^
어렵네용ㅎㅎ
클라우드플레어 강력한 캐싱(트래픽절약)과 보안 , ssl 같은 것을 적용할 경우 구름이 주황색으로 활성화 되도록 해서 꼭 사용해야 하구요.
그렇지 않은 경우 바이패스상태로 (회색구름) 구름을 꺼주시면 DNS기능만 클라우드플레어를 이용하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 굳이 티스토리같은 서비스까지 구름을 켜서 적용할 필요가 없으니 그냥 구금을 끄고 연결이 된다면 그렇게 이용하시면 되겠죠.
호스팅 사용시 해당 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를 사용하는 것은 네임서버 관리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배려로 시작된 것이 그냥 관례로 굳어져 버린 것 뿐입니다. 원래 네임서버는 아무데나 써도 됩니다. 어느 서버(IP주소)가 어느 도메인을 담당하는지 제대로 연결만 해주면 됩니다. 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는 이게 자동으로 세팅되니까 편리할 뿐이죠.
대부분의 호스팅 업체 네임서버는 자기네가 보유한 서버(IP주소)로만 연결해 주지만, 클라우드플레어는 어느 호스팅 IP 주소든지 마음대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라우드플레어가 카페24 네임서버를 대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경우 카페24의 네임서버와 DNS관리 기능은 무용지물이 됩니다.
어제오늘 계속 삽질중입니다.. 배우는것도 많네요`ㅎ
이 도메인으로 연결 가능하시면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이 도메인은 본도메인과 연관성이 없어 본 도메인 아이피 유출 위험이 없습니다. 제가 언급한 서브도메인은 본도메인의 서브도메인의 클라우드를 경유하지 않은 바이패스 사용의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