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댓글 8

  • 2021.07.15 05:30 #1593308

    컴퓨터 세계에 무한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ttl값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마구 늘린다고 눈에 띄는 효과가 있지도 않습니다.

  • 2021.07.15 05:37 #1593321
    제가 개발쪽은 문외한이라 ㅠㅠ
    혹시 라이믹스의 오브젝트 캐시는 apcu에 저장되는게 맞을까요?!

    그러면 어차피 시스템 설정> apcu의 만료 시간이 86400으로 되어있으므로
    아무리 제가 캐시 시간을 늘려봤자 해당 시간을 따라가겠군요!
  • 2021.07.15 05:41 #1593329
    apcu를 선택하면 apcu에 저장되고, memcached를 선택하면 memcached에 저장되죠.
    기본 시간과 무관하게 Cache::set 할 때 ttl값을 지정할 수 있고요.
  • 2021.07.15 05:43 #1593337
    아아 코어 관리자페이지 > 고급설정에 보이는 캐시 시간은 '캐시 기본 시간(TTL)' 이군요
    각자의 개별 캐시의 설정이 더 우위에 있다고 이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1.07.15 05:33 #1593312

    무한으로 늘리지는 못할겁니다..

    최대한 늘리는 방향으로 숫자를 크게 하는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ttl을 누락하여 제공할경우 기본 86400 하루로 설정됩니다.

    근데 이 캐시가 필요가 없다면 라이믹스의 오브젝트 캐시보단 file 으로 생성하여 해당 파일을 불러오는 형태가 더 깔끔하지 않을까요?

    해당 파일안에 관련 데이터를 json또는 object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값을 항상 그곳에서 가져오도록 하면 캐시를 재생성할 필요가 없어지거든요

  • 2021.07.15 05:37 #1593325
    혹시 코어에서도 해당 함수를 제공하나요!?
    진곰님 모듈 생성기를 이용해서 setCache, getCache 등은 바로 호출해서 사용했는데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은 확인할수 없네요 ㅠㅠ
  • 2021.07.15 05:42 #1593333
    그냥 임의로 만들어서 쓰라는 뜻인 것 같은데, 캐시 용도로 파일은 쓰지 마세요.
    쓸데없는 파일이 늘어나서 백업도 잘 안 되고, DB랑 동기화 안 되고, 무척 귀찮아집니다.
    지금도 files/member_extra_info 아래를 보면 한숨이 나오는 수준이죠...
  • 2021.07.15 05:43 #1593341
    넵 캐시 기간을 그냥 적절하게 늘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