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서버에 올린 라이믹스에 도메인 연결을 위한 DDNS
CMS/프레임워크 | Rhymix 2.0 |
---|---|
개발 언어 | PHP 7.3 |
삽질끝에 나스에 라이믹스 사이트를 옮기는데 성공했습니다.
도메인을 구글도메인이나 클라우드플레어로 옮겨서 DDNS 연결을 할 예정인데요.
둘 중 어디가 더 좋을지 궁금합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무료 유료가 따로 있던데 도메인 이전후 DDNS 사용이랑은 상관이 없나해서요. 초보라 처음보는건 다 무섭네요 ㅎㅎㅎ
CMS/프레임워크 | Rhymix 2.0 |
---|---|
개발 언어 | PHP 7.3 |
삽질끝에 나스에 라이믹스 사이트를 옮기는데 성공했습니다.
도메인을 구글도메인이나 클라우드플레어로 옮겨서 DDNS 연결을 할 예정인데요.
둘 중 어디가 더 좋을지 궁금합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무료 유료가 따로 있던데 도메인 이전후 DDNS 사용이랑은 상관이 없나해서요. 초보라 처음보는건 다 무섭네요 ㅎㅎㅎ
댓글 7
클플 경유하는것도 무료입니다.
접속수에 따른 문제느 없으나 속도 차이라던지 이런것들이 결제하신 등급에 따라 빠른곳을 연결해주거나 아니면 느리게 해주냐 이런게 선택되긴합니다..
dns로만 사용한다면 횟수 용량 이런거 어차피 본인서버에서 다 담당할것이고.. 무료로 아무리 사용해도 문제 없고요..
만약 트래픽을 클플에서 부담하도록 최대한 바꾸신다면 달라지겠지요. 보통 이럴경우 용량이 아무리 많이 뜨더라도 클플에서 유료서비스로 써야하거나 그러진 않을꺼예요.
클플처럼 트래픽절약으로 dns연결하면서 사용되는 서비스중에서는 솔찍히 클플만한건 사실 없긴합니다..
클플이 여러모로 더 좋긴 한데..
ddns 와 관련해서라면 조금 달라질 수도 있겠습니다.
ddns 설정을 할려면 내 컴퓨터에 깔 툴이 필요한데...
보통 리눅스에서라면 ddclient 같은걸 쓰죠.
근데 클플의 경우 이상하게 ddclient에서 지원이 늦어서
상당히 최신버젼이 아니면 안됩니다.
우분투 20.04에서조차 apt install ddclient로 깔리는거는
클플 지원이 안됩니다.
압축파일을 받아서 ddclient 최신버젼을 손으로 설치해야만 합니다.
상당한 불편함이죠.
근데 지금 보니까 구글dns는 dyndns2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네요?
이건 꽤 메이저하고 유명한거라서...
구지 컴퓨터에 프로그램 안깔아도
심지어 인터넷 무선 공유기 같은데서도 지원해줄겁니다.
인터넷 공유기에서 ddns 설정해서 끝내버릴 수 있다면 압도적으로 편리하긴 하죠.
ddns 설정에 관련해서만큼은 구글 dns가 클플보다 편리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https://dnszi.com
추천드립니다 무료인데 대게 이쪽 많이 사용들하세요 저도 그렇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