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전에도 글을 올린적 있는데요 라이믹스도 윅스나 아임웹같이 호스팅을 제공하고 이쁜 기본 레이아읏도 저렴하게 판매하면 좋겠습니다. 아임웹을 보면 기본형 테마가 저렴하고 좋운게 있더라고요 물론 자본도 필요하고 관리도 어렵겠지만 라이믹스 생태계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더 많이 이용할거 같은데요.

물론 이런 구상 안해보신것은 아니겠지만 계획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가이더 Lv. 6

댓글 12

  • wix나 아임웹같은 멀티테넌트형 SaaS랑 구조자체가 달라서 아예 재설계하지않는이상 쉽지않아보여요!


    오히려 그누보드기반의 리빌더(https://rebuilder.co.kr)의 운영방식처럼 멤버십등을 통한 유료기능 , 기술지원 제공등을 제공하는건 어떨까요?

  • @딱따고기

    네, SaaS와는 구조가 다르니, 만약 호스팅을 한다면 특정 업체와 제휴해서 적당한 사양의 웹호스팅 계정에 라이믹스를 기본 설치해 놓는 식으로 해야겠지요. 물론 이렇게 하면 수익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봐도 됩니다...

     

    "자본도 필요하고" + "그러면 더 많이 이용할 것 같은데요"라는 예측에 책임질 수 있는 분이라면 직접 자본을 투자해 보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ㅋㅋㅋ

  • @기진곰

    아 ~ 전 라이믹스가 더 발전하기를 바라는 맘에서 올린겁니다. 가능하다면 수익 증대를 위해 그에 맞는 요금제를 도입하면 라이믹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을까 해서요. 머 단순한 생각입니다.

  • @딱따고기

    아 그렇군요. 전 몰랐네요 그렇다면 쉽지가 않네요

  • 이쁘고 좋은게 공짜로 나오는건 쉽지않습니다.

    특히 최근 UI 컴포넌트에서 거의 준 필수격으로 불리는 shadcn-ui의 경우에도 제작자인 shadcn이 vercel이라 가능한거죠.

  • @에카

    넵 감사합니다. 전 공짜라고 하지 않고 기본형 레이아웃을 저렴하게라고 표현했습니다. 

  • @가이더

    제가 정신이 없어서 잘못 보았나봅니다. 불쾌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저렴하게라도 나오려면 사실상 견습수준의 디자이너 혹은 개발자의 노력이여야 할텐데,

    그렇게 하기에는 이전에 비해 관심도가 많이 떨어지는 상황이라서 안타까울 뿐입니다.

  • @에카

    저렴하다는 것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지요.

     

    최근 자료실에서 판매되는 고퀄리티 테마들은 30만원 정도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만약 10만원에 내놓는다면 저렴한 것일까요? 누군가에게는 10만원도 비싸게 느껴지겠지요. 3만원이라면? 완전 공짜가 아닌 이상 비싸다고 하는 사람은 항상 있습니다. 심지어 공짜로 풀어도 감놔라 배놔라 하는 진상이 천지빼까리... ㅠ

  • @기진곰

    전  아임웹이나 윅스에서 보고 말씀드리거에요 그게 얼마이던 레이아웃이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 @에카

    네 감사합니다. 라이믹스 이용자가 줄어드는것 같다는 글 보고 올렸습니다

  • @가이더

     

    라이믹스를 아임웹처럼 비전문가와 소상공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설치형 CMS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UX 개선과 자동화 도구, 그리고 커뮤니티 중심의 교육 콘텐츠가 필요합니다.

     

    🧩 비전문가도 쉽게 쓰는 라이믹스를 위한 전략

    1. 설치 자동화 및 클라우드 버전 제공

    • 아임웹은 웹 기반이라 회원가입만 하면 바로 시작할 수 있지만, 라이믹스는 서버 설치가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 자동 설치 스크립트클라우드형 라이믹스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면, 서버 지식 없이도 시작할 수 있어요.
    • 예: “1분 설치형 라이믹스” 패키지, 웹 기반 설치 마법사

    2. 초보자용 테마 마켓과 실시간 편집기

    • 아임웹처럼 다양한 템플릿을 선택하고 실시간으로 수정할 수 있는 테마 마켓과 **시각적 편집기(UI Builder)**를 제공하면 디자인 진입장벽이 낮아집니다.
    • 테마마다 미리보기, 색상/폰트 변경, 반응형 설정 등을 GUI로 지원하면 좋습니다.

    3. 모듈 설치 자동화 및 추천 기능

    • 쇼핑몰, 예약, 블로그 등 자주 쓰는 기능을 모듈 추천 + 자동 설치로 연결하면 초보자도 쉽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어요.
    • 예: “쇼핑몰 만들기 → 필요한 모듈 자동 설치 + 설정 마법사”

    4. 관리자 UI 개선 및 모바일 대응

    • 현재 라이믹스 관리자 페이지는 개발자 중심이라 초보자에게는 어렵습니다.
    • 모바일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관리자 UI로 개편하면 소상공인도 쉽게 운영할 수 있어요.

    5. 커뮤니티 중심의 교육 콘텐츠 강화

    • 아임웹은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사용법 콘텐츠가 풍부한 반면, 라이믹스는 개발자 중심 커뮤니티에 의존합니다.
    • 초보자 튜토리얼, 영상 강의, 실습형 문서를 제작하고,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6. 기능 중심의 SaaS 연동

    • 카카오톡 채널, 네이버 예약, 인스타그램 연동 등 국내 소상공인이 자주 쓰는 서비스와의 연동 기능을 강화하면 실용성이 높아집니다.

     

    📉 라이믹스 이용자 감소 원인 요약

    • 설치형 CMS의 진입장벽
    • 모바일/디자인 대응 부족
    • 비전문가 대상 콘텐츠 부족
    • SaaS형 대안(아임웹, Wix, 카페24 등)의 성장

     

    결론적으로, 라이믹스가 ‘개발자 중심 도구’에서 ‘비전문가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하려면, UX 개선 + 자동화 + 교육 콘텐츠가 핵심입니다.

    Sources: Rhymix 공식 매뉴얼, 가온 위키 라이믹스 문서, Rhymix.org


    코파일럿에 물어보니 이렇게 답변을 해주네요
    "교육 컨텐츠 확대"와 "구현하고자 하는 사이트 형태에 따라 모듈을 추천해주는 기능"은 꽤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미래는 모르는 일이죠! 어쩌면 가이더 님께서 올리신 원글이 성지가 될지도!!!^^

  • 저또한 라이믹스 시장이 활성화 되었음 하지만 현실의 벽이 녹녹치가 않다보니 많은 개발자분들이 선뜻 발을 담그려 하지 않으시는것 같네요. 

    진입장벽이 높은 부분 부터 하나씩 해결해 나가다 보면 또 다시 붐을 일으킬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