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도록 잘 간직해오던 삼성 스토리스테이션 외장하드
문제가 생겨 못쓰게 되었거든요. 하드가 인식이 안되어요.
아예 못쓰게 되어서 일부러 이 외장하드 분해해봤어요.
1.5테라 하드부터 빼는데 아주 힘겹게 뺐네요.
저 하드 15년 되었네요.
외장하드 분해한 후에 이 외장케이스를 그냥 버리기 아까와서
혹시나 다른 하드 연결시켜봤더니 나오네요.
그러니까 하드만 문제가 있을 뿐 케이스는 고장이 아니라서
다른 하드 외장케이스로 활용가능하네요.
아직 버리지 않고 필요할 경우 대비해 그냥 두고 있어요.
외장하드를 분해해보기는 처음이예요.
못쓰게 된 건데도 버리지 않고 여태 그냥 두었는데
며칠전 하드 드라이브 안식안되어 못쓰게 된 하드
살려냈던거 생각해서 혹시나 하고 1.5테라 다시 연겱시켰거든요.
어찌 어찌 하다 드라이브명은 나오는데 클릭이 안되요.
그래서 그냥 참고 기다렸어요.
한참 기다리니까 디스크관리에서
RAW라고 나왔어요.
원래 NTFS였는데 이렇게 강제로 바뀌여 버렸어요.
이 하드 살려낼 수도 있겠다 생각하고
NTFS로 포맷하는데 한참 기다려도 포맷이 금방 안되고
아주 오래 걸렸에요. 근데 포맷 완료 안되었다고 나오네요.
그래서 이번엔 볼륨삭제했는데 이것도 어찌나 느린지 한참 걸렸어요.
그 과정에서 이렇게 나오기도 하구요.
그래도 인내심 갖고 끝까지 참고 기다리며 버티어 봤어요.
한참 기다리고 기다리다 간신히 NTFS로
포맷되어서 죽었던 하드가 되살아났어요.
드디어 드라이브가 인식이 되었거든요.
그러나 하드 살린 기쁨도 잠시였어요.
하드튠부터 달려가 하드 디스크 상태를 보니
빨간게 표시되네요.
이 하드는 자료만 보관해 오던 멀쩡한 하드였는데
어쩌다 저렇게 되었나 모르겠어요.
죽은 하드 온갖 노력 다해
겨우 살린 하드가 이 모양이네요.
레벨3이였는데 레벨 4 되었네요.
요며칠 수십개 넘는 하드 정리 작업하느라
계속 밤을 새우기도 하고 다시 컴문제 생겨
다시 수난을 겪기도 하고 참 파란만장한 나날 보냈네요.

댓글 21
로우포멧 해보세요.
제 1.5TB 와 3TB(다른사람줌) 도 저런 상태였고 배드섹터 검사했을때 빨간색으로 여러곳 나왔었어요. 그래서 1년 방치후에
로우포맷하고 배드있으면 버릴려 했는데 여지껏 잘돌아가고 며칠전에 몇년만에 테스트 해봤는데 정상으로 모두 뜨더라구요.
2~3개 프로그램이나 방법이 나오는데 2가지 모두 해본결과 첫번째는 실패했는데 두번째 방법은 성공했었어요.
사람마다 다르니 구글링 해보시면 2~3개 방법 나올텐데요 .그거 다해보세요.
그리고 포맷할때는 드라이브 잘못 선택하면 날릴수 있으니 물리적으로 떼어놓을수 있으면 떼어놓고
아닌것은 드라이브명 꼭 확인하고 하세요.
로우포멧 안해봐서 어떻게 하는지 모르네요.
로우포멧하면 시간 엄청 걸린다 들었어요.
작년에 제가 2테라 하드 빠른 포맷 아닌 일반포맷 하느라고
하루종일 걸리고 했던 기억나네요.
제 컴 하드 바이러스 걸렸다 하면 일반포맷해주거든요.
2테라 하드 여러개 일반포맷하느라 며칠 계속 쉬지 않고
잠 자는 시간 빼고 컴 켠채로 작업하곤 했더니 컴퓨터 열받아서
쿨러가 타버려 쿨러 교체했어요.
로우포맷도 일반포맷처럼 하루종일 걸릴 듯 한데
빠르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있나 모르겠어요.
이참에 저도 로우포맷 좀 더 알아내서
그 하드 로우포맷하고 싶네요.
네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하는것으로 살렸던것으로 기억되요
로우포맷만 쳐도 방법 나오고 설치하고 드라이브 선택하고 로우포맷 하면 될정도로 간단해요
대신에 로우포맷 자체가 빠르게 하는것은 없어서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니 잘때 걸어두거나 외출시 걸어두시는게 좋을거예요.
아래 영상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주 단순해요.
https://blog.naver.com/kwy3000/223703836375
탄천에 전기자전거 타고 다녀오려고 나갔다가
비 한방울 뚝 떨어져서 갑자기 비 쏟아질까봐
방금 도로 집으로 들어왔네요.
작년에 로우포맷 검색하다 알게 된 무설치 프로그램 다운받았는데
영어로 되어 있고 어떻게 하는지 몰라 그냥 두었어요.
마신님이 알려준 곳 들어가보니 그 프로그램 어디선가 본 기억나네요.
근데 그건 안써봤어요. 알려주어서 고맙구요.
나중에 천천히 기회봐서 그것도 써봐야겠어요.
로우포맷해서 정상으로 되었다는 글을
네이버에서 많이 봤거든요.
근데 참 궁금한게 성공시킨다 해도
속은 불안정한데 겉만 정상인건 아닌가 모르겠어요.
그래서 전 정상으로 만들어도 중요한 자료 안넣고
언제 다시 문제 생길지 모르니
그냥 별로 중요하지 않는 자료 넣고 사용할 듯 하네요.
어쨌든 하드 정상으로 나오면
하드가 깨끗한 느낌이 들 듯 해요.
그러니 그거 그대로 놔두기 보다 로우포맷해서라도
정상으로 나오게 만들고 싶어요.
로우포맷 처음으로 해봤는데 진짜 의외로 쉽네요.
근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요.
1.5테라 로우포맷하는데 5시간 30분 걸렸어요.
하드튠으로 살펴보니 정상으로 안나오고 실패했어요.
하드 상태가 너무 안좋은건 로우포맷해도 소용없나봐요.
아깝지만 이 하드는 드라이브 인식 되어도 버려야만 하겠네요.
로우레벨 포맷도 예전 하드에나 통하는거지 요즘 나오는 고용량 하드는 로우레벨 포맷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하드웨어에서 명령을 막거나 그냥 제로필(즉 0으로 채우는...)만 합니다. 특히 본문의 하드는 읽기쪽 오류가 발생한거라 포맷한다고 해결되는 고장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로우포맷이 모든 하드 다 되고 그런게 아니였네요.
요즘 고용량 하드는 로우포맷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사실
오늘 처음 알았어요. 알려주어서 고마워요.
제가 갖고 있는 하드는 모두 오래된 것들이네요.
지금 3.5인치 다른 하드 2테라 하드 로우포맷중이네요.
한참 로우포맷중에 잠시 들어왔어요.
요건 공기온도에 빨간 표시가 있는데
이런건 왜 생겼나 모르겠어요.
로우포맷해서 빨간거 없어졌으면 좋겠다 싶어서
지금 그냥 테스트 삼아 로우포맷중이네요.
내일 새벽에나 완료될텐데 로우포맷이
시간 너무 걸려 지치게 만드네요.
그래도 그 빨간거 안보이게 만들면
숙이 시원해질 듯 해요.
네 요즘 hdd 용량이 크다보니 요즘꺼는 된다해도 며칠씩 걸리니 돌리기 어려워 보입니다.
그래도 실제로 1.5TB 3TB 를 로우포맷으로 복구 경험이 있어서
15년전 1.5TB면 로우포맷 해볼만하다 생각했는데...
저도 3년정도 되어 어떤프로그램인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요.
CMD 에서 도스창에서 로우포맷으로는 복구가 안되서 소프트웨어 였던것은 기억이 나는데 정확히 어떤 프로그램이었던지는 기억이 잘안나는데요
첫번째 복구방법이 안되서 저도 폐기할 생각으로 로우포맷 프로그램들 받아서 해보다가 복구된거라 물리적 배드상황이나
아예 인식안되는 상황이 아니면 복구할수 있을지 않을까 했습니다.
WD 소프트웨어나 시게이트 전용 로우포맷 이였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그런대 제이엔지님 하드가 삼성꺼라 프로그램이 적용이 될지 모르겠네요.
https://rhyshan.com/372#google_vignette
상성 로우포맷툴도 있긴 한데 10년전 프로그램이라 작동할지 모르겠네요
https://m.blog.naver.com/puhacamping/220262959221
저라면 인식만 된다면 셋다 다 돌려보고 폐기 생각하겠지만요.
마신님이 말 안해주었다면
로우포맷이 그렇게 간단한 작업이라는거
몰랐을텐데 덕분에 로우포맷이란거 해봤네요.
오늘 새벽에 로우포맷하는데
98%에서 팟플레이어로 중드 보다 중지하느라
스페이스바를 딱 치니까 5시간 넘게 로우포맷하는 중에
도중에 딱 멈춰버렸어요.
간신히 다 되어가는데 도중에 멈춰버려 어찌나 맥 빠지던지
그래도 다시 시도해서 아까 낮에 처음으로 로우포맷 완료했네요.
지금은 두번때 다른 하드 시게이트 2테라 포맷중이구요.
아까부터 스페이스바 안치려고 조심했는데
저도 모르게 스페이스바 쳐버렸어요.
근데 오늘은 어쩐 일인지 스페이스바 쳤는데도 안멈췄네요.
키보드에서 스페이스바대신 띄여쓰기 가능한 키 없나 살펴봤는데
네이버에 검색해도 안나오는거 보면 없나봐요.
삼성 로우포맷 그거 옛날에 삼성전자 사이트에서 봤던 기억나네요.
그건 사용해본 적 없는데 나중에 천천히 그것도 한번 써봐야겠어요.
1.5테라 하드 드라이브는 인식이 되는 상태니까 시도는 해보고 싶어요.
하드튠에 나오는 그 빨간거 없애고 싶다 보니
제가 기를 쓰듯 열심히 로우포맷하네요.
근데 이런건 너무 시간걸리고 몸을 지치게 만들어서
평소에 자주 못하고 어쩌다만 할 듯 해요.
며칠 게속 하드 작업하느라 로우포맷하느라
기를 쓰다 보니 기진맥진...
네 로우포맷이 여러종류라 한종류로 다 해결되면 좋겠지만
하드디스크나 제조사마다 로우포맷 종류에 따라 잘되는 프로그램들이 따로있더라구요.
그래서 최소 3종은 돌려봐야 복구불가 판정을 내릴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른 프로그램들도 거의 같은 수준으로 프로그램 설치후 드라이브 선택후 로우포맷 누르는정도로 간단한편입니다
시간이 좀 오래걸려서 그렇구요. 그러다가 빨간 배드섹터등 없어지면 기분이 좋더라구요.
저는 이런일 생기면 미션이라 생각해요
잘안풀리는 문제 풀이하듯이
그러다가 해결되거나 이전보다 나은게 보이면 한문제 제대로 푼느낌이 들어요.
그러고 다시 풀수 있는 새로운 문제를 찾고 있네요.
로우포맷 프로그램도 여러가지 있다는거 알았지만
그게 전부다 다 해결되는건 아니란거 알았어요.
어떤건 잘 되고 어떤건 안되고 그런가봐요.
오늘 로우포맷중인거 내일 완료상태 봐서 여전히 빨간색 나오면
다른 프로그램도 써봐야겠네요.
프로그램마다 달라서 다른 건 될지도 모를테니까요.
제가 수십개 하드 갖고 있는데 그 중 노란거와 crc 오류가 난게 많은데
빨간거 나온건 몇개 안되거든요.
빨간거 나온 하드부터 처리하고 싶네요.
요 빨간거 한방에 팍 날려버리면 통쾌할텐데
완료되려면 아직도 멀어서 로우포맷하기도 참 힘드네요.
이런건 진짜 시간과 더불어 인내심이 필요한 듯 해요.
삼성 로우포맷툴을 언급해서 그 링크안에
이 파일이 있는 줄 알고 다운받아 로우포맷하려 했더니
그곳에 올려진 글 이제야 천천히 보고 파일 다운받아 보니까
오늘 제가 사용한 파일하고 같은 프로그램이네요.
삼성전자 사이트엔 아예 하드 관련 자료 없고
시게이트 사이트 들어가도 삼성 로우포맷툴이 없네요.
아마도 너무 오래되어서 이젠 없어졌나봐요.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 보니 다른 곳에 올려진 글에
자료는 나오는데 오래된 글이라 파일 삭제된건지
파일명은 보이는데 다운이 안되네요.
삼성 하드디스크 로우레벨 포맷 프로그램 ESTOOL
구글에서 이걸 열심히 검색해 다운되는 파일 하나 겨우 발견하고
다운받는데 크롬브라우저에서 위험한 파일이라고 차단되네요.
아무리 검색해 찾아봐도 바이러스 들어간 파일만 나오고
안전한 파일은 찾을 수가 없네요.
삼성 로우포맷툴로 로우포맷하고 싶었는데...
삼성이 HDD 사업부를 시게이트에게 2조원에 팔아먹은 것이 신의 한수였죠. 그걸 덥썩 산 시게이트는 ㅠㅠ... 이게 벌써 15년전 일이네요... 라고 생각했었는데, HDD가 아직도 살아남고 있네요. SSD 값이 너무 안떨어져서 어쩔수 없는 것 같아요.
오래되었어도 잘 돌아간다면 굳이 버릴 이유는 없지만, 그래도 15년이면 이제 수명도 다 되었을 것 같고 배드섹터도 생겼으니, 이젠,
컴 켠채로 밤새워가며 2테라 시게이트 로우포맷중인데
아직도 안끝났네요. 이 하드는 어쩐 일인지 로우포맷 속도가
엄청 느리네요. 10시간 지나도 끝날 기미가 안보이니
상당히 지치네요.
지금 포맷중인 시게이트 하드는 2012년도에 나온 하드라
13년 되었으니 이것도 상당히 오래 되었어요.
이 하드는 베드섹터는 없고 crc오류와 공기온도만 실패로 있어요.
요건 빨간거만 없애면 좀 더 쓸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삼성 스토리스테이션 1.5테라 하드는 삼성 로우포맷툴로 포맷해봐서
계속 그 상태이고 갈때 되어서 가려 한다면
그땐 붙잡지 말고 보내줘야겠어요.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붙잡지 않듯이...
지금 로우포맷중인 시게이트 하드는
시게이트 바라쿠타라고만 써져있는데
다른 하드 살펴보니 삼성 시게이트라고 적혀있어요.
3.5인치 삼성 하드 문제 있어서 시게이트 서비스센타에서
새하드로 교체받았던 하드네요.
방금 사진 찍어봤어요.
요 하드는 빨간색 없고 노란색하고 파란색 crc오류만 있네요.
이건 다른 하드처럼 년도가 안적혀 있어서
언제꺼였는지 알 수가 없네요.
그 당시 삼성하드가 시게이트로 넘어갔다는 소리
들었던 때였으니 그때 하드네요.
삼성전자 3.5인치 하드 2009년에 나왔던 1테라 하드
2011년 하드 오류 하나 없이 아주 깨끗한 정상하드 여태 소장하고 있네요.
이거말고도 삼성 하드 500기가 하나 더 있는데
아주 깨끗하고 하드튠으로 보면 디스크상태가 정상으로 나와요.
저에겐 2010년도에 나온 삼성 스토리스테이션 다른 2테라 2개하고
2011년도 나온 하얀색 삼성 바오밥 G스테이션 2테라도 갖고 있는데
이건 제가 아주 애지중지하는데 하드 모두 정상이고
오류 하나 없고 아주 깨끗해서 사이트 중요한 자료만 넣었어요.
소장만 하고 잘 보관해왔는데 잘 쓰지 않아 새거 샀던거 그대로네요.
전 이번에 로우포맷한 하드처럼 오류가 있거나
문제 있는 하드들은 중드 자료 중에서 그리 중요하지 않는
파일들만 넣고 사용하네요. 그런 하드는 안전하지 않고
언제 망가질지 모르니까요.
토비리님 올려주신 그림 재밌어요.
웬지 귀여워요. 하하..
삼성이 HDD 팔때만해도 앞으로 SSD시대로 시게이트는 hdd를 왜 살까 했는데..
요즘 용량 생각하면 서버든 개인이든 HDD는 필요한것 같아요.
그리고 SSD 도 삼성 HDD 사업넘길때만해도 10년후에는 보통 10TB는 쓰게 될줄 알았는데 이제 8tb 정도가 100만원인데
HDD는 30TB 출시하고 새로운기술로 앞으로 100TB짜리까지 나온다고 하니..
HDD 의 시대는 최소 앞으로 10년은 더 굳건할것 같네요.
https://youtu.be/P7cAqY6M0eg
8TB가 100만원이라니 너무 비싸서 전 이런거 못사네요.
그 돈으로 차라리 컴퓨터 사겠어요.
100TB 하드가 생긴다니 굉장하네요.
제가 갖고 있는 하드 15년 지나도록 멀쩡한게 아직도 있으니
100TB 하드 나오면 그땐 기술이 더 좋아져서
어쩌면 100년까지 거뜬할지도 모르겠어요.
하드왈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2테라 시게이트 바라쿠타 하드
어제 저녁시간부터 시작해서 15시간 15분만에
이제야 로우포맷 완료했는데 공기온도 숫자만 달라지고
빨간거 그대로네요. 한참 기다리고 기다린 결과
빨간거 그대로 나온거 보니 웬지 허탈했어요.
이젠 자신이 없어지네요.
빨간거 없애고 싶었는데...
시게이트 이 하드
바라쿠타라기 보다 버리쿠타가 어울린다 싶었네요.
공기 온도 빨간색은 처음 봐서 찾아보니.. 하드오류가 아니라 외부온도 경고라네요.
온도센서 달려서 온도 높다고 알려주는
컴퓨터본체의 쿨링의 문제로 하드온도가 높다는 뜻으로 쿨링만하면 되는문제로 하드 오류까지는 아니라네요.
시게이트에만 적용되어있다고 하네요.
저도 DAS로 옮기면서 본체케이스 내부에 달려있던 HDD 만져보니 엄청 뜨거워서
HDD수명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HDD는 본체에 안달거나 최대1개만 생각하고 있어요.
https://coolenjoy.net/bbs/hdd/59257
https://coolenjoy.net/bbs/hdd/35739
https://discourse.ubuntu-kr.org/t/smart-airflow-temperature/11936
네이버 검색하다 보니까 어디선가 공기온도 이건 있어도
별문제 없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전 저 빨간게 자꾸 맘에 걸려요.
몇년전에 컴퓨터 관련 자료 검색하다 쿨엔조이 사이트
처음으로 들어간 적 있는데 참 오랫만에 다시 들어가 보네요.
그 사이트 있는지 없는지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마신님이 링크해줘서 기억이 났어요.
전 본체엔 파란색 CRC 오류만 있는 하드만 장착해 쓰고 있어요.
새 하드나 정상인 하드 본체에 넣고 사용하다
얼마 안가 저절로 CRC 오류가 나온거 본 후부터는
이젠 다신 정상 하드 본체에 안넣네요.
컴퓨터가 갑자기 먹통이 되거나 강제로 재부팅되거나 할때
CRC 오류가 생기곤 했는데 멀쩡한 정상하드가
갑자기 CRC 오류가 나버려 어찌나 속상하던지
그래서 전 본체안엔 절대로 새하드 장착 안하고
중고 하드나 CRC 오류 있는거만 장착해 사용하네요.
지금껏 그리 써와도 크게 문제 없어요.
오늘 로우포맷한 2테라 시게이트 저 하드
본체에 넣고 몇년 계속 잘 써왔던 하드인데
아직 아무 문제 없고 고장 나진 않았네요.
단지 저 빨간 색 보이는게 맘에 걸려서
지금은 본체에 넣고 쓰질 않고
그냥 중드 자료만 보관하는 용도로만 쓰고 있어요.
네 저기 설명대로라면 하드디스크에는 문제가 없고 하드디스크 외부에 온도가 높다는 뜻이니
외장하드로 연결하고 선풍기등으로 충분히 차갑게 해준상태에서 테스트 해보세요.
맞다면 쿨링 잘되는 케이스나 외장하드케이스(DAS)를 쓰면 빨간색 안뜰거 같네요.
본체안에 쿨러 있어서 본체안 하드 4개 모두 차갑거든요.
그 하드 넣으면 역시 쿨러 있으니 빨간거 안떠야 하는데 뜨는건 마찬가지네요.
전 선풍기는 전기요금 많이 나와서 안쓰고 에어서큘레이터만 사용하는데
이걸 하드 향해 시원한 바람 불게 해도 소용이 없네요.
외장하드 쿨링 잘되는 케이스가 없는데....
언젠가 이런 케이스 사는 날 오면 그때 써봐야 알겠네요.
단지 온도문제이고 하드엔 베드섹터가 없으니 그냥 써도 괜찮겠다 싶어요.